해시 탐색(Hash Search) 해시(Hash)란 단어는 '잘게 썬다', '잘게 자른다'라는 의미로, '원래의 숫자를 모양이 변할 정도로 요리하여 전혀 다른 값을 생성한다'는 의미로 파악해 두는 것이 좋다. 어떤 데이터가 어떤 요소에 들어 있는지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검색을 시작하는 선형 탐색, 이진 탐색과 달리, 나중에 데이터를 탐색하기 쉽도록 데이터를 보관하는 단계에서 사전 준비를 해 둔다. 예를 들면, 24인 데이터는 첨자 24의 요소에 넣어 두고, 36인 데이터는 36의 요소에 넣어둔다. (이를 위해서 최소 0 ~ 36까지의 요소를 가진 배열이 만들어져 있어야 한다.) -> Direct Address Table 이렇게 하면 너무 많은 메모리를 낭비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