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 읽은 범위 : 9장, 단위 테스트 (p.158 ~ p.169)
😀 책에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
테스트 코드에서 가독성을 높이려면, 명료성, 단순성, 풍부한 표현력이 필요하다.
테스트 코드는 최소의 표현으로 많은 것을 나타내야 한다.
테스트 API 코드에 적용하는 표준은 실제 코드에 적용하는 표준과 다르다.
- 단순하고, 간결하고, 표현력이 풍부해야 하지만, 실제 코드만큼 효율적일 필요는 없다.
StringBuffer를 피해라.
assert문 개수를 줄여라.
테스트 함수마다 한 개념만 테스트하라.
F.I.R.S.T 규칙
- Fast: 테스트는 빨라야 한다. 테스트가 느리면 자주 돌릴 엄두를 못 낸다.
- Independent: 각 테스트는 서로 의존하면 안 된다. 각 테스트는 독립적으로, 그리고 어떤 순서로 실행해도 괜찮아야 한다.
- Repeatable: 테스트는 어떤 환경에서도 반복 가능해야 한다.
- Self-Validating: 테스트는 bool 값으로 결과를 내야 한다.
- Timely: 단위 테스트는 테스트하려는 실제 코드를 구현하기 직전에 구현한다.
테스트 코드는 실제 코드의 유연성, 유지보수성, 재사용성을 보존하고 강화한다.
테스트 API를 구현해 도메인 특화 언어Domain Specific Language를 만들자.
🤔 오늘 읽은 소감은?
- 아직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 본 경험이 있어서 완전히 이해되지는 않았지만 빠른 시일 내에 테스트 코드를 도전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 실제 코드를 작성하기 전에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라는 부분이 신기했다.
- 그동안 의존성이 높은 코드를 작성해왔던 것 같아서 반성했다.
🧐 궁금한 내용이 있거나, 잘 이해되지 않는 내용
- 도메인 특화 언어라는 게 무엇을 뜻하는지 잘 모르겠다.
- assert문은 어떤 기능을 하는 함수일까?
📌 소감 3줄 요약
- 테스트 함수마다 한 개념만 테스트하라.
- 각 테스트는 독립적으로, 그리고 어떤 순서로 실행해도 괜찮아야 한다.
- 단위 테스트는 테스트하려는 실제 코드를 구현하기 직전에 구현한다.
'클린코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Y 17] 클린 코드 TIL - 10장. 클래스 (0) | 2022.02.10 |
---|---|
[DAY 16] 클린 코드 TIL - 10장. 클래스 (0) | 2022.02.08 |
[DAY 14] 클린 코드 TIL - 9장. 단위 테스트 (4) | 2022.02.06 |
[DAY 13] 클린 코드 TIL - 7장. 오류 처리 (0) | 2022.02.04 |
[DAY 12] 클린 코드 TIL - 7장. 오류 처리 (0) | 2022.02.02 |